아바마마께서 갤럭시 탭s10을 엄청 사고 싶어하시는 중인데 마이크로소프트 서피스 이후로 두번째 반대 중이라 (아빠 다음 버전에 사세요!!x100번함) 뭔가 하고 싶은 걸 참을 수 없었던 아빠가 윈도우 11에 꽂혔다. ㅋㅋ... 왜인지는 모르지만... 어쨌든 그래서 계속해서 윈도우 10에서 11로 가는 법을 물어보시는데 알 수가 있어야지. 아림아 윈도우 11로 업그레이드는 어떻게 하는 걸까 (윈도우 11로 업글해달라의 충청도식 화법)> 모르겠는데요 > 하려고 했는데 안된대 > 하드웨어가 안된다면 안되는 거겠죠 > 강제로 업그레이드하는 법이 있던데 > 그럼 가능할 수도 있나보네요 >> 강제 업그레이드가 될까? >> 그런데 저는 잘 모르겠는데 >> 그런데 윈도우 11이... 를 몇번 하고 (둘다 끈기가 있는 타입임... 게으른 1인 집요한 1인... ㅋㅋㅋㅋ) 결국 내가 졌다. 나중에 공부해서 해드릴게요 이후 내 컴으로 실험 후 가서 해드리기 위해 기록을 해본다.
처음에는 10에서 11 자동 업그레이드가 하드웨어 어쩌고 하면서 안되길래 안되는 컴퓨터인 줄 알고 그냥 살고 있었고, 실험해보려고 이것저것 해보기 시작한 후에도 몰랐는데 알고보니 가능한 컴퓨터였다. 윈도우 11이 TPM 2.0이 필요한데 없는 줄 알았지... 없는 것 같길래. 그런데 원래 기본 옵션이 꺼진 거라고 ㅋㅋ 그래서 활성화 해줘야 한다고! 그걸 몰랐지 뭐야. 레지스트리도 건드려보고 했는데 안되서 이것저것 해보다 알았다.;;; 이 삽질의 역사.
그 후 일단 그 문제는 해결되었기에 TPM 2.0 문제 해결만 되면 될 줄 알았던 나는 일단 그냥 10에서 11로 있던 파일들 냅두고 업그레이드를 해보려고 했다. 그러나 두번째 문제 (이 PC는 보안 부팅을 지원해야합니다) 가 발생하였고 이 문구는 파티션 때문이라고 하더라. 기존 디스크에 파티션이 여러개 있거나 파티션 형식이 GPT 방식이 아닐 때 이 문구가 뜬다던데 여기서 그냥 포기하고 클린 설치를 하기로. 물론 이 루트를 따라가도 똑같은 오류 메시지가 떴지만 클린 설치시에는 해결 방법이 네이버에 확실하게 나와있었다. ㅋㅋ 나는 모든 파일을 다 다른 드라이브 및 원드라이브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윈도우를 새로 깔아도 부담이 적다. 세팅이 좀 걸리긴 하지만.
<윈도우 11 클린 설치>
- 컴퓨터를 정리 (파일 보관, 윈도우 제품키 뽑아두기)
- 윈도우 제품키 확인 - rededit >>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SoftwareProtectionPlatform >> BackupProductKeyDefault
- 8기가 이상의 USB 준비 후 https://www.microsoft.com/ko-kr/software-download/windows11 에서 Window 설치 미디어 만들기 >> 지금 다운로드 >> 다운로드 폴더의 mediacreationtool.exe 실행 >> 약관 동의 >> 언어 및 버전 선택 >> USB 플래시 드라이브 >> 선택까지 쭉쭉 다음을 눌러 진행해서 설치 미디어를 만듬.
- usb 설치 미디어를 만들지 않는 경우는 에서 제일 아래 X64장치용 Windows 11 디스크 이미지 (ISO) 다운로드에서 다운로드를 선택합니다 >> Window 11 (X64 장치용 다중버전 ISO) >> 지금 다운로드 >> 한국어 >> 확인 >> 64-bit Download >> 이후 받아진 파일 오른쪽 클릭 >> 탑재 >> Setup.exe 클릭
- 참고로 2.1의 방법은 그냥 업그레이드할 때 사용하는 방법인데, 이 경우 위에 쓴 파티션 문제가 있었음.
- 내 컴은 ASUS 메인보드이므로 메인보드에 DEL 또는 F2를 눌러 진입 후 검색에서 TPM 쓴 후 검색 눌러 TPM Device Selection의 Discrete TPM 에서 Firmware TPM 으로 변경
- advanced 메뉴에서 AMD fTPM configuration 으로 들어가도 된다.
- 아까 윈도우 설치 USB 만들어둔 걸 안 뺐을 거기 때문에 그대로 부팅순서를 usb를 제일 상위로 옮겨 세이브하고 부팅한다.
- 그러면 윈도우가 열심히 설치되다가 말고 또 에러를 띄움. 위의 파티션 문제로.
- 에러화면에서 shift+f10 >> diskpart >> list disk >> sel disk 숫자 (방금 list disk 에서 윈도우 설치할 디스크의 번호를 여기 숫자에 적는다) >> clean >> convert gpt >> exit
- 이후 새로고침 후 파티션 정리를 잘 해주고 해당 파티션 선택 후 다음을 누르면 쭉쭉 진행된다.
- 윈도우 설치할 때 나는 에듀케이션 버전이라서 이메일을 입력해야했는데 이... 학교 이메일이 ㅋㅋ 음.. 설명하기 길지만 마이크로소프트 및 구글이 각 학교와 제휴해서 드라이브 용량을 퍼주다가 어느 순간 줄이게 되면서 우리 학교는 학교 이메일을 아예 없애버려서...에듀케이션 버전에 연결된 학교 이메일이 사라져 윈도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한 적이 있는데 어쨌든 그것 때문에 나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없이 로컬 계정으로 진행하는 게 조금 더 좋았다. 방법은
- 해당 화면에서 아래 로그인 옵션 클릭-> 회사 도메인을 만듬 어쩌고 하면 로컬 계정쪽으로 넘어감.
- 6.1은 에듀케이션의 경우고, 홈의 경우는 걍 아무 이름이나 입력후 비번 틀리면 된다고 (안해봐서 모름...)
- 이렇게 하면 일단 큰 줄기는 끝이고 세세한 설정은 다음과 같다. 길어질 것 같아 항목 분리.
<그 외의 세세한 설정>
- 바탕 화면에 생기는 이 사진에 대한 자세한 정보 아이콘
- 설정 >> 개인 설정 >> 배경 >> Windows 추천을 사진으로 변경하면 됨.
- regedit에서 수정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HideDesktopIcons\NewStartPanel >> 마우스오른쪽버튼 >> 새로만들기 >> DWORD (32비트) 값 >> {2cc5ca98-6485-489a-920e-b3e88a6ccce3} >> 수정 >> 1
- 그 외의 방법 없음.
- 아빠는 분명히 비밀번호 안 치고 접속되게 해달라고 하실 것이다.
- 설정 >> 계정 >> 로그인 옵션 >> 암호 >> 추가 >> 아무것도 적지 않고 다음을 누를 것.
- 시작 화면 밑의 맞춤 어쩌고 하는 문구는 사라지지 않는다... (왜?)
- 개인 설정 >> 시작 >> 고정된 항목 더보기, 기본값, 권장사항 더보기가 이 부분 설정하는 곳인데 범위? 만 바뀜.
- 크롬, 엣지등 인터넷 브라우저 시작시에 첫페이지가 매우 느리게 뜸.
-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프록시 >> 자동으로 설정 검색 끄기.
- 넘버락 부팅시마다 켜줘야하는 문제 해결. 방법이 두가지.
- regedit 편집. HKEY_USERS.DEFAULT\Control Panel\Keyboard >> 수정 >> 2
- 빠른 시작 끄기.
- 크롬과 엣지에서 유튜브 시청시 프리징. 검색해보니 해결책이 세가지 정도가 있어서 세가지 다 적용 후 실험 중.
- chrome://flags 에서 Experimental QUIC protocol을 Disabled 로 변경
- 크롬이 아니라 엣지인 경우는 edge://flags 에서 동일하게.
- chrome://flasg 에서 Choose ANGLE graphics backend를 OpenGL 로 변경
- 설정 >> 시스템 >> 디스플레이 >> 그래픽 >> 고급 그래픽 설정 >> 하드웨어 가속 GPU 일정 예약 끄거나 켬 (설정된 것 반대로)
- 설정 검색에서 가속 입력 후 검색해도 메뉴가 뜬다.
- chrome://flags 에서 Experimental QUIC protocol을 Disabled 로 변경